블로그 이미지
경제주간지에서 펜 기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슬로우어답터만의 꼼꼼함(?)과 인사이트로 이 급변하는 세계를 다른 시각으로 들여다보고 싶습니다. durydury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43)
Slow adopter와 함께 (23)
캠핑이 왜 좋은겨? (3)
사람과 사람 (10)
일상다반사 (7)
Total
Today
Yesterday

7월 2일,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더 넥스트 스파크' 출시 기자 시승행사가 열렸습니다.

저는 자동차 담당이 아닌데도 담당 선배에게 이야기해서 이 행사에 참석했습니다.

한국에 처음으로 소개되는 애플 카플레이 장착 차량이거든요.



 제가 오늘 시승한 13번 차량입니다. 



7월 1일은 일간지와 온라인 매체, 2일은 잡지와 블로그 기자단이 참석하는 행사였습니다.

저는 자동차 전문지 국장과 함께 탔는데요.


국장께서 시승을 하면서 무척 놀라더군요.

경차하면 떠오르는 편견이 많이 깨지는 경험이었다고 하네요.

안정감이나 속도감 등이 전혀 예상치 못하게 좋았다고.

저도 그런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편의사양도 경차에 들어가기 힘든 것들이 대거 채택됐습니다.

전방 충돌 경고, 차선이탈 경고, 사각지대경고 시스템, 후방 주차 시스템 등이 눈에 띄네요.

이러다가 스파크에 HUD까지 설치되는 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여튼 중형차량 이상에나 들어가는 기술이 채택된 것도 눈길을 끄네요. 


기자들에게 화제가 된 것은 뭐니해도 가격을 내린 거죠.

그동안 신차를 발표하면 가격을 올리는 것이 상식이었는데,

쉐보레가 칼을 갈았는지, 아니면 모닝을 이겨야 한다는 집념 때문인지 모르겠지만

가격을 내리는 사건을 만들어버렸습니다. 

현대기아 긴장해야 할 듯 합니다.



제가 시승하면서 이것저것 사용해본 애플 카플레이입니다. 




오늘 저를 즐겁게 한 것은 애플 카플레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기사로 써야 하기 때문에...


미러링 기술과는 또 다르더군요.

신기해요. 

차량의 USB에 충전 잭을 연결하면 바로 아이폰에서 카플레이가 시작이 되더군요.

블루투스 방식은 아닌 것 같고, 그렇다고 HDMI로 연결해서 미러링을 구현하는 것도 아니고.

애플 카플레이 작동 방식이 어떻게 되는지 더 취재를 해봐야 할 듯 합니다. 


써보면서 이거 물건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직은 문자, 전화, 지도(내비), 음악 관련 앱만 작동을 합니다.

시리의 효용성을 아주 극대화했더군요.

시리 이젠 말도 잘 들어요. 긴 문장을 이야기했더니 문자로 보내주는데, 정확했습니다.


재미있는 것도 몇가지 있습니다.

아쉬운 점도 있습니다.

그것은 기사로 풀어내겠습니다. 


여기서 밝힐 수 있는 것.

쉐보레 차량을 구입한 사람은, 쉽게 말해 기존 구매자들은 애플 카플레이를 

공식적인 서비스를 통해 장착은 불가능할 듯합니다.

오늘 제가 궁금해서 기자회견시간에 질문을 했더니 임원들이 안된다고 답변했습니다.


애플 카플레이를 맛보았으니, 이젠 구글의 안드로이드 오토를 빨리 맛보고 싶네요. 


Posted by durydury
, |

비즈니스 인사이더에서 샐러리맨이 가장 알고 싶어하는 자료를 하나 발표했습니다.

자료 원출처는 구직 커뮤니티인 '글래스도어'(Glassdoor)라고 하네요.


여튼, 샐러리맨에게 가장 민감한 것이 연봉일 것입니다.


미국에서 가장 연봉이 높은 기업 리스트가 발표됐네요.

비즈니스 인사이더의 설명이 재미있습니다.

'넷플릭스나 구글이 일하기 좋은 직장일 뿐만 아니라 봉급도 가장 높은 미국 기업으로 꼽혔다'고 설명했네요.


샐러리맨의 천국인데다 돈까지 많이 주는 직장. 부럽기만 합니다.


로펌, 컨설팅업체, IT 이 세 분야의 기업이 가장 연봉이 높군요.



가장 연봉이 센 곳이

Skadden Arps(스캐든 압스)라는 미국의 다국적 대형 로펌이 선정됐습니다.

본사가 뉴욕에 있고, 서울에도 지사가 있는 것 같습니다. 

맥킨지와 경쟁관계의 로펌인 듯 합니다.



스캐든 압스에 대해서 구글링을 해보니 한국의 김앤장 정도 되는 듯 합니다.

한국에 지사도 있다고 하니 김앤장의 경쟁자이겠네요.



이곳에서 평균 연봉(기본급으로만)은 17만 달러입니다.

보너스나 커미션까지 합한 평균 연봉은 18만2000 달러네요.

원화로 2억원 정도 됩니다.


IT 기업이 2위를 차지했네요.

요즘 가장 핫한 넷플릭스의 평균 연봉이 18만 달러였습니다. 

보너스나 커미션은 전혀 없고 모두 연봉으로만 계산되는 것 같네요.


이번에 15위까지 발표됐는데요.

애플은 순위에 없습니다.

모질라가 8위나 되네요. 평균 기본급 연봉이 11만2737 달러(총 연봉으로는 14만7556 달러)네요.


구글이 13위에 올랐네요.

기본급으로만 따지면 11만6000 달러이고 총 평균 연봉은 14만3500 달러입니다.


참고로 한국에서 가장 연봉이 높은 기업은 삼성전자입니다.

지난 1월에 취업포털 사람인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삼성전자 임직우너 평균 연봉이 1억200만원 정도 됩니다.

2위가 현대기아자동차인데 9700만원입니다.


삼성전자의 연봉이 상당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죠. 


미국에서 가장 연봉을 많이 주는 기업 15개 리스트는 이곳에서 볼 수 있습니다. 


15 Highest-Paying Companies In Ameriaca

 

Posted by durydury
, |


애플TV, 구글의 크롬캐스트 등을 OTT(Over The Top)이라고 부릅니다.

OTT라는 단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면 얼리 어답터겠죠.


솔직히 이 단어를 처음 들었을 때 이해하기가 무척 어려웠습니다.

한국인터넷진흥원 정책기획팀 배병환 주임연구원이 쉽게 풀이를 해놨네요.

배 주임연구원의 설명을 옮기자면

"기존의 통신 및 방송 사업자와 더불어 제3 사업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드라마나 영화 등의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라고 정의를 합니다. 

Top은 TV에 연결되는 셋톱박스를 말한다고 하네요.

쉽게 풀이하면 SK브로드밴드나 LG유플러스의 셋톱박스라고 보면 될 듯합니다.

통신사업자가 아닌 이들이 제공하는 기기나 플랫폼을 OTT라고 보면 됩니다.


애플TV, 넷플릭스, 크롬캐스트, 훌루 등이 OTT 서비스입니다.

한국에 들어온 것은 크롬캐스트 밖에 없습니다.

애플TV는 아이폰이 한국에 상륙하면서 자연스럽게 주목을 받아서 이베이나 아마존을 통해 직구를 한 분들이 꽤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도 마찬가지로 이베이에서 애플TV 3세대를 구입했죠.


이와 비슷한 OTT서비스로는 다음TV플러스가 있습니다.


제가 슬로우 어답터들을 위해서 애플TV, 크롬캐스트, 다음TV플러스를 사용기를 내보낸 적이 있습니다.

한번 읽어보시면 애플TV의 한계와 크롬캐스트의 불편한 점 등을 느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왜 애플이나 구글 등의 글로벌 IT 기업이 TV라는 올드한 매체를 포기하지 못하는지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슬로우 어답터들에게 좋은 정보가 됐으면 합니다. 


SMART TV - TV로 진격하는 구글과 애플 

  

일반TV를 스마트TV로 만들어주는 기기 경쟁이 치열하다. 대표적인 제품으로 꼽히는 애플TV, 크롬캐스트, 다음TV플러스를 직접 사용해보고 기기들의 차이점과 경쟁력을 살펴봤다.


미국에서 수백만 대가 팔린 동글형 구글의 크롬캐스트(Chromecast)가 지난 5월 중순 한국에서 출시됐다. 구글은 정확한 판매량을 발표하지 않았지만, 한국에서는 출시 후 1개월 만에 2만여 대가 팔렸다.

크롬캐스트의 성공으로 애플TV, 다음TV플러스 같은 일반TV를 스마트TV로 만들어 주는 기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애플TV와 다음TV플러스는 셋톱박스형이고, 크롬캐스트는 스틱형 동글이다. 크롬캐스트의 성공에 자극을 받고 B2B(기업 간 거래)에 집중했던 다음TV는 스틱형 동글과 업그레이드된 셋톱박스형 제품을 출시하고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 시장을 공략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2010년 당시 애플 CEO 스티브 잡스가 ‘취미’라며 애플TV를 출시한 이후 조용하던 스마트TV 기기 경쟁이 크롬캐스트 출시로 본격화되는 양상이다.

애플TV, 다음TV, 크롬캐스트를 사용해 봤다. 애플TV는 한국에서 정식 출시되지 않아 이베이에서 개인적으로 구매한 제품으로 비교했다.

애플TV - 단순함·에어플레이 기능 만족 높아


애플TV는 여느 애플 제품처럼 단순함이 빛난다. 일반TV에 있는 HDMI 포트에 꼽고 무선 인터넷을 연결한다. 작동은 리모컨과 아이폰 앱을 이용하면 된다. 버튼 3개만 있는 리모컨으로 글자를 입력하고, 콘텐트를 선택하는 데 별 어려움이 없다. 다음TV플러스 리모컨 뒷면에 있는 쿼티(Qwerty) 자판과 비교하면 애플 제품의 단순성은 놀랍다.

애플TV는 몇 번의 업데이트를 거쳐 콘텐트가 30여 개로 늘었다. 기존의 ‘유튜브’ ‘넷플릭스’ ‘훌루’ 등을 포함해 ‘디즈니주니어’ ‘PBS’ ‘블룸버그’ ‘크래클’ ‘야후스크린’ 등이 새롭게 추가됐다. JTBC와 MBN 등을 볼 수 있는 ‘KORTV’ 앱도 나왔다. 애플TV 콘텐트는 구매해야만 볼 수 있다. JTBC와 MBN도 마찬가지다. 아이들에게 영어공부를 시키기 위해 디즈니주니어를 보려면 결제를 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결제도 불가능해 미국 계정을 만들고 아이튠즈 기프트를 구입해야만 한다.

이처럼 한국에서는 애플TV를 이용하기가 쉽지 않다. 그나마 한국 소비자는 ‘에어플레이’에 만족하고 있다. 컴퓨터나 아이패드, 아이폰에 저장된 콘텐트를 TV에서 편하게 볼 수 있는 미러링 기능이다. 가격은 99달러(약 10만원)다.


크롬캐스트 - 티빙과 호핑 콘텐트 결합이 장점

설치는 쉽다. 스틱형 동글을 TV에 있는 HDMI 포트와 무선인터넷에 연결하면 끝. 스마트폰(아이폰, 안드로이드폰 모두 사용 가능)에 크롬캐스트 앱을 설치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크롬캐스트는 애플TV와 전혀 다른 성격을 갖고 있다. 애플TV는 30여 개 콘텐트 중에서 선택해 시청하는 형식이다. 크롬캐스트는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의 콘텐트를 TV로 캐스팅해주는 역할만 한다. 크롬캐스트와 스마트폰을 연결하면 스마트폰에서 보고 있는 유튜브 화면을 TV에서 볼 수 있다.

유튜브 화면을 TV에 캐스팅해도 스마트폰을 쓸 수 있다. 티빙과 호핑 앱을 스마트폰에 설치했다면 TV로 한국 방송도 볼 수 있다. 다만 7월 17일 현재까지 아이폰에서는 티빙과 호핑 앱을 크롬캐스트와 연결할 수 없다. 아직까지 크롬캐스트는 안드로이드 폰에서 사용해야 훨씬 편하다.

애플TV의 에어플레이 기능처럼 크롬캐스트도 스마트폰과 컴퓨터에 저장된 동영상을 TV에서 볼 수 있다. 크롬캐스트를 통해 동영상을 보려면 스마트폰과 컴퓨터에 플레이투게더, 올캐스트, 짐리 등의 앱을 깔아야 한다. 크롬캐스트를 이용해 TV에서 스마트폰과 컴퓨터의 동영상을 보는 것은 애플TV보다 훨씬 불편하다. 동영상이 끊기거나 자막과 화면이 맞지 않을 때가 있다.

구글은 이번 여름이 지나기 전에 미러링 기능을 추가하겠다고 밝혔다. 구글 아시아·태평양 지역 크롬캐스트 파트너십 총괄을 맡고 있는 미키 김은 “손쉬운 설치과정과 합리적인 가격이 장점”이라며 “‘캐스팅’을 통해 디지털 콘텐트를 TV에서 볼 수 있다는 점이 크롬캐스트의 경쟁력”이라고 설명했다. 가격은 4만9900원이다.


다음TV플러스 - B2C 시장 적극 공략할 계획

2012년 4월 출시돼 7월 현재까지 5만6000 대가 팔려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음TV플러스는 애플TV처럼 셋톱박스형 기기다. 설치 방법도 애플TV와 비슷하다. HDMI 포트에 선을 꼽고 무선인터넷과 연결하면 된다.

애플TV는 채널형 앱으로, 다음TV플러스는 실시간 TV(pooq)·키즈·스포츠·동영상 등 카테고리 앱으로 콘텐트를 선택한다. 카테고리를 클릭하면 세부적인 콘텐트가 나온다. 얼마 전에는 교육콘텐트 사업의 일환으로 ‘스터디+’ 카테고리 서비스를 시작했다.

하지만 콘텐트는 아직 많이 부족하다. 스포츠TV 카테고리에서 골프를 선택하면 콘텐트의 빈약함을 느끼게 된다. 다음TV 클라우드 앱을 통해 클라우드에 저장된 음악·영상·사진 등을 TV에서 볼 수 있다는 점은 특화됐다. 장점은 게임이나 pooq 같은 실시간 채널 앱을 직접 설치할 수 있다는 것.

다음TV 서진호 본부장은 “앞으로 B2C 시장도 적극 공략하겠다”고 밝혔다. 인터넷 브라우저를 TV 화면에 띄우고 키보드를 이용해 사용할 수 있다. 다음TV플러스의 가격은 19만9000원이다.

애플과 구글 그리고 다음까지, ICT 생태계를 이끌어가는 기업이 TV에 눈독을 들이는 이유는 ‘돈’ 때문이다. 미국의 유명 벤처캐피털 KPCB(Kleiner Perkins Caufield Byers)의 파트너 매리 미커가 올해 발표한 ‘인터넷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매체별 글로벌 광고시장에서 TV는 45%를 차지해 여전히 광고시장의 강자다.

인터넷 광고가 22%(430억 달러)로 2등을 했고, 인터넷·인쇄매체·라디오가 그 뒤를 이었다. 이에 반해 스마트폰의 광고시장은 4%(71억 달러)에 불과했다. 구글과 애플 등 글로벌 ICT 기업이 TV로 진격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인 것. KT경제경영연구소 이성춘 상무는 “모바일 광고는 여전히 한계가 많다. 구글과 애플이 TV 광고시장을 노릴 수 밖에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애플, 구글 등은 스마트TV 기기를 다양한 콘텐트의 플랫폼으로 만들려고 한다. TV콘텐트 플랫폼을 선점하면 광고는 뒤따라 온다. 하지만 말처럼 쉽지 않다. 콘텐트 수급이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에서 지상파 TV는 이들에게 콘텐트를 내줄 생각이 별로 없다. 이득이 되지 않아서다. 저작권 문제도 걸림돌이다. 이 상무는 “콘텐트를 어떻게 수급하느냐가 애플, 구글, 다음의 숙제”라며 “ 질 좋은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면 TV 시장에 큰 영향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했다.


Posted by durydury
, |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